세상/무역

국제무역사 1급 시험 준비]무역계약 중 국제운송-국제해상운송, 해상운송계약/운송절차/선하증권

Bon Iver 2021. 6. 3. 10:41
반응형

국제운송

국제해상운송

1. 화물의 운송 형태

1)해상운송(Marine Transport)

2)복합운송(Multimodal Transport)

3)항공운송(Air Transport)

2. 선박(Ship, Vassel)

1)상선(Merchant Ship): 여객선, 화물선, 컨테이너선, 원유운반선, 정제유운반선, 화공품운반선, RORO선, 냉동선, LASH선

2)정기선(Liner)

-일반 화물 운송

-Sailing Schedule, Freight Tariff 공시

-고정비 발생

-선적기일 맞추기 적합

-불요식계약(선하증권이 계약 증거)

3)부정기선(Tramper)

-곡물, 원유, 광물 등 일반 원료나 대량 화물, 운송 수요 급증 화물

-운임 변동폭 큼

-용선계약이 일반적(요식계약)

4)선박의 톤수

용적톤수(Space Tonnage)

-총톤수(GT): 관세, 등록세, 도선료, 계선료 등 과세 또는 수수료의 산출 기준

-순톤수(NT): 항세, 톤세, 운하통과료, 등대사용료, 항만시설 사용료 등 제세금과 수수료 산출 기준

-재화용적톤수(MT, Measurement Tonnage)

중량톤수(Weight Tonnage)

-배수톤수(DT, Displacement Tonnage): 만재 상태 선체의 중량

-재화중량톤수(DWT, Dead Weight Tonnage): 최대 적재 능력, 선박 매매 및 용선료 산출 기준

운하톤수(CT, Canal Tonnage): 통선료 산정 측정 규정(수에즈, 파나마운하)

3. 해상운송계약(Contract of Carriage by sea)

1)개품운송계약

-혼적(Consolidation), 정기선운송

-선하증권이 운송계약의 증거

-불요식계약, 선복요청서(Shipping Request) 제출 후 선박회사의 인수확약서(Booking Note)

-물품 본선 적재 후 선박회사가 선적 선하증권(Shipped B/L) 발급

-B/L: 운송계약의 증거, 물품인도의 증거 및 권리 증권의 기능

2)용선운송계약

-주로 살물(Bulk Cargo) 대상 부정기선 이용

-표준화된 용선계약서(C/P, Charter Party) 작성. 운송서류 대신

용선운송계약의 종류

-일부용선계약(Partial Charter)

-전부용선계약(Whole Charter)

*항해용선계약(Voyage Charter): 톤당 금액 운임

*기간용선계약(TIme Charter): 용선료 지급

*나용선계약(Bareboat Carther): 선박 자체만을 용선자에 대여, 선장은 용선자의 대리인. 용선자는 선박 제외 선장, 선원, 장비 및 소요품 일체에 대해 책임

3)하역 비용 부담조건

선적 비용과 양륙 비용(선내 하역 비용, Stevedorage) 부담 약정

-선주부담조건(Berth Term, Liner Term): 정기선, 개품운송계약

-Free In(F.I): 선적 시 선내 하역 비용 용선자 부담, 양하 시 선내 하역비용 선주 부담

-Free Out(F.O)

-Free In & Out(F.I.O): 모두 용선자가 부담

-Free In & Out & Stowed and Trimmed): 선내 하역 비용, 적부 비용, 화물정리 비용까지 용선자 부담

4. 정박 기간(Laydays, Laytime)

정박기간 계산 조건

1) C.Q.D(Customary Quick Delivery, 관습적 조속하역): 불가항력으로 인한 하역 불능은 정박 기간에서 공제, 일요일과 공휴일은 관습에 따름

2) Running Days(연속 정박 기간): 일요일, 공휴일은 물론 하역 불능 사태가 발생해도 모두 정박 기간에 포함

3) Working Days(작업일): 악천우 하역 불능일 제외

-Weather Working Day(WWD)

-Sunday and Holidays Excepted(SHEX)

-Sunday and Holidays Excepted Unless Used(SHEXUU)

-Sunday and Holidays Excepted Even If Used(SHEXEIU)

체선료(Demurrage)

조출료(Dispatch Money)

지체료(Detention Charge)

5. 해상운임

1)정기선의 운임

-Weight, Measurement, Price 기준

-할증료(Surcharge)

중량할증운임(Heavy Lift Surcharge)

용적 및 장척할증운임(Bulky/Lenghty Surcharge)

양륙항선택료(Optional Charge)

통화할증료(CAF: Currency Adjustment Factor)

유류할증료(BAF: Bunker Adjustment Factor)

체선(혼잡)할증료(Congestion Surcharge)

운하할증료(Canal Surcharge)

저유황할증료(LSS/LSF: Low Sulphur Surcharge)

2)부정기선의 운임

-비례운임(Pro-rata Freight): 수송거리 운임

-부적운임(Dead Freight): 공적운임

-선복운임(Lumpsum Freight)

3)기타 부대 비용

-부두사용료(Wharfage)

-터미널화물 처리비(THC: Terminal Handling Charge)

-컨테이너화물 적입비(CFS Charge)

-서류발급비(Document Fee)

6. 해운동맹(Shipping Conference)

1)해운동맹의 종류

-개방식 동맹(Open Conference)

-폐쇄식 동맹(Closed Conference)

2)대내적 운영 방식

-운임협정(Rate Agreement)

-배선협정(Sailing Agreement)

-공동계산협정(Pooling Agreement)

-집단사무소 설치

3)대외적 운영 방식

-대항선(Fight Ship) 투입

-계약운임제(Contract Rate)

-운임연환급제(Deferred Rebate System)

-성실환급제(Fidelity Rebate System)

7. 컨테이너 운송

1)컨테이너의 종류

규격에 따른 분류

-TEU(Twenty-foot Equivalent Unit)

-FEU(Forty-foot Equivalent Unit)

-40ft High Cubic Container

용도에 따른 분류

-건화물 컨테이너(Dry Container)

-냉동 컨테이너(Reefer Container)

-펜 컨테이너(Pen Container)

-천장개방형 컨테이너(Open Top Container)

-플랫랙 컨테이너(Flat Rack Container)

-탱크 컨테이너(Tank Container)

-행거 컨테이너(Hanger Container)

2)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

-안벽(Berth, Peir)

-에이프론(Apron)

-마샬링 야드(Marshalling Yard)

-컨테이너 야적장(CY)

-컨테이너 화물 집화소(CFS)

-통제소(Control Tower)

-정비소(Maintenance Shop)

-갠트리 크레인(Gantry Crane)

3) 내륙 컨테이너 기지(ICD: Inland Container Depot)

4) 컨테이너선 하역 방식에 따른 분류

-Lift On/Lift Off(LOLO 방식)

-Roll On/Roll Off(RORO 방식)

-Float On/Float Off(FOFO 방식)

5)컨테이너 화물 운송 형태

-CFS/CFS 운송(Pier to Pier 방식): 소량 화물 혼재->여러 수하인

-CFS/CY 운송(Pier to Door 방식): 다수 송하인, 한 명 수하인

-CY/CFS 운송(Door to Pier 방식): 한 명 송하인, 다수 수하인

-CY/CY 운송(Door to Door 방식): 한 명 송하인, 한 명 수하인

8. 운송 절차

1)수출 시 운송 절차(컨테이너 기준)

-인수기록 작성

-빈 컨테이너 대출 및 적입 작업(Stuffing): 기기수도증(E/R: Equipment Receipt)

-적입 후 인도

LCL: 혼재 후 컨테이너 내적 부표(CLP: Container Load Plan

-부두수령증의 교부: D/R(Dock Receipt)

-선박회사에 D/R 제공

-선하증권의 발급

2)수입 시 운송 절차

-도착 통지: 착화통지처(Notify Party)에 통지

-선사에 B/L 원본 제시

-D/O 발급: 화물인도지시서(D/O: Delivery Order)

-D/O 및 수입신고필증의 제시

9. 선하증권(B/L: Bill of Lading)

1)선하증권의 기능

-권리증권(인도 증권성)

-운송계약의 증거(요식증권성, 요인증권성)

-화물수령증

2)선하증권의 법적 성질

-유가증권성

-요인증권성

-요식증권성

-지시증권성

-채권증권성

-제시증권성

-인도증권성

-처분증권성

3)선하증권 이면 약관에 기재되는 주요 면책 조항

-잠재하자조항(Latent Defect Clause)

-항해과실조항(Negligence Clause)

-부지조항(Unknown Clause)

4)선하증권의 수하인 표시 방법

-기명식

-지시식

-소지인식

-무기명식

5)선하증권의 양도

-기명식 배서(Full Endorsement)

-지시식 배서(Order Endorsement)

-백지식 배서(무기명 배서)

6)선하증권의 종류

-선적 선하증권(Shipped B/L)

-수취 선하증권(Received B/L)

-본선적재 선하증권(On Board B/L)

-고장부 선하증권(Dirty B/L, Foul B/L): 파손화물보장상(L/I: Letter of Indemnity)

-무고장 선하증권(Clean B/L)

-기명식 선하증권(Straight B/L)

-지시식 선하증권(Order B/L)

-약식 선하증권(Short Form B/L)

-용선계약 선하증권(Charter Party B/L)

-집단 선하증권(Groupage B/L, Master B/L)

-혼재 선하증권(House B/L)

-통 선하증권(Through B/L)

-환적 선하증권(Transhipment B/L)

-스위치 선하증권(Switch B/L)

-서렌더 선하증권(Surrendered B/L): 언본의 교부 없이 사본으로 화물을 인수 할 수 있다

-지체 선하증권(Stale B/L): 선적일 21일 이내, 신용장 유효기일 내 제시

10. 해상화물운송장(SWB: Sea Waybill)

비유통성 서류

1)해상화물운송장의 특징

-해상 화물 수령의 증거 및 운송계약 체결의 증거

-화물 인도 청구 시 제출할 필요 없음

-기명식 발행

참고도서: 에듀윌 2021 한달끝장 국제무역사 1급

반응형